□고용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은 최초로 근로자 수 100인 이상 기업의 고용성장지수(기업 일자리 창출 지수) 조사결과를
발표했다.
특히 이번 조사는 고용보험 DB를 활용한 최초의 ‘기업’ 단위 일자리 창출력 조사로서, 실제 기업 단위의 일자리 창출력을
규모별/업종별로 상세히 볼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의미를 가진다.
그간 OECD, EU 등 선진국에서는 이와 관련된 다양한 연구가
진행, 발표되었으나, 국내에서는 30대 그룹 등에 대한 일자리 창출 조사 이외에는 별다른 기업 단위의 일자리 창출 조사가
없었다.
기업 일자리 창출 지수 분석결과
< 총괄 >
분석기간에 관계없이 대상 기업의 60% 이상에서 고용이
증가*하였으며, 분석기간이 길어질수록 중소규모 기업에서 고용증가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.
고용이 증가한 기업의 산업별 분포를 보면,
제조업(37.0%), 사업시설관리 및 사업지원 서비스업(13.5%), 운수업(8.5%),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(7.6%)
순(2012-2013)이며, 특히, 교육 서비스업과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의 경우 업종 내 고용증가기업의 비중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.
고용증가기업의 규모별 분포를 보면 대체로 규모가 클수록 고용증가기업의 비중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. 특히 5,000~10000인
미만, 10,000인 이상 규모 기업의 경우 고용이 증가한 기업의 비중이 약 90%에 달했다.
다만,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*은
1000인 이상 대기업(95.2%)에서, 교육 서비스업은 100~300인 미만 소규모 기업(86.5%)에서 고용증가기업의 비중이 높게
나타났다.(2012-2013)
고용증가기업의 경우 성별로는 남성(58.9%), 연령대로는 중장년(30~54세, 65.7%)의
고용증가 비중이 두드러졌다.(2012-2013)
청년의 경우 숙박 및 음식점업(49.3%), 교육 서비스업(54.1%), 여성의
경우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(75.4%), 교육 서비스업(68.9%)에서 주로 고용이 증가했다.
특히, 분석기간이 길어질 경우
10,000인 이상 대규모 기업체에서의 청년층 고용증가 비중은 오히려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.
※ 자세한
내용은 첨부파일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.